제사상 차리는 방법 - 순서 배치 홍동백서 등 (+추석, 설 명절)

 

추석과 설은 물론 때마다 제사를 지낼때 잊어버리기 쉬운 제사상 차리는 방법, 순서, 배치 알아보겠습니다. 제사는 가장 큰 범위이고 그 안에 차례가 들어가기때문에 제사상, 차례상 모두 같은 의미라고 봐도 되겠습니다.

 

 

제사상 차리는 방법

신위 별로 준비해야하는 것은 밥, 국, 숭늉 등 입니다. 신위 수대로 준비해야하며, 명절 차례의 경우에는 떡국이나 송편이 대신합니다. 밥은 그릇에 담아 밥뚜껑을 덮어 준비합니다. 국은 쇠고기무국을 탕국이라 부르며 탕국을 준비하여 덮개를 덮습니다. 숭늉은 냉수 또는 온수에 밥알을 조금 풀어 준비하면 됩니다.

 

 

제사상 차리는 법 - 신위

보통 제사상은 5열로 차립니다.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으로 보며 제주가 있는 쪽이 남쪽, 제주가 바라볼때 오른쪽이 동쪽, 왼쪽은 서쪽이 됩니다. 신위 앞부터 1열이 됩니다.

 

제사상 차리는 방법 - 1열, 2열, 3열, 4열, 5열

  1. 제 1열 - 밥, 국, 숭늉, 떡국 식사류
  2. 제 2열 - 고기, 생선, 전 등 반찬
  3. 제 3열 - 탕국
  4. 제 4열 - 나물, 포
  5. 제 5열 - 과일, 과자, 한과

 

 

제1열은 식사류인 밥, 국 등이 오르고, 2열은 제사상의 주요리가 되는 구이, 전 등이 오르고, 3열에는 그다음 될 만한 부요리인 탕 등이 올라가며, 4열에는 나물, 김치, 포 등 밑반찬류, 5열에는 과일과 과자 등 후식에 해당하는 것들이 올라갑니다.

 

제 2열에는 생선전 종류와 고기전류를 놓게 됩니다. 어동육서, 동두서미  법칙을 지켜서 놓게되는데요. 아래 배치와 순서 항목에서 어떤 의미인지 확인가능하실 수 있습니다.

 

제 3열에는 탕을 놓게 됩니다. 어탕, 육탕이 지방과 풍습에따라 다르지만 어떤 종류든 탕종류를 올립니다.

 

제 4열에는 식혜와 포를 놓습니다. 우혜좌포 법칙에 따라 놓는다고 하네요.

 

제 5열에는 후식에 해당하는 과자와 과일이 올려집니다. 홍동백서, 조율시이 법칙에 따라 올려지며 좌로부터 대추, 밤, 감, 배 순서로 놓습니다.

 

 

 

 

제사상 차리는 방법 - 배치 방법

  • 남좌여우 - 산 사람의 상 차림과 반대이다. 수저는 중앙에 놓는다. 밥은 서쪽(왼쪽) 국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반서갱동 - 남자조상의 신위, 밥, 국, 술잔은 왼쪽에 놓고 여자조상은 오른쪽에 놓는다. 남자조상은 서쪽(왼쪽), 여자조상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어동육서 - 고기는 서쪽(왼쪽), 생선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두동미서 - 꼬리는 서쪽(왼쪽), 머리는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생동숙서 - 나물은 서쪽(왼쪽), 김치는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좌포우혜 -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는 왼쪽에 놓고 식혜(수정과등 삭힌음식)는 오른쪽에 위치한다.
  • 조율이시 - 보통 진열의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순서로 놓는다.
  • 홍동백서 - 예서에 따라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제사 지내는 순서

제사의 주인이 되는 사람을 '제주' 라고 부릅니다. 제주를 돕는 사람을 '집사' 라 부르며, 제사에서는 술을 3번 올리는데, 각각 초헌, 아헌, 종헌으로 칭합니다.

 

 

  1. 강신 - 제주가 향을 피웁니다.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합니다. 신주를 모실 때에는 아래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합니다.
  2. 참신 -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합니다.
  3. 초헌 -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부어줍니다. 제주는 잔을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집사에게 줍니다. 집사가 술을 올리고, 젓가락을 음식 위에 놓습니다. 제주가 두 번 절합니다.
  4. 독축 - 모두 꿇어 않고 제주가 축문을 읽습니다. 다 읽으면 모두 두 번 절합니다.
  5. 아헌 - 두 번째로 술을 올리는 것으로, 제주의 부인 혹은 고인과 제주 다음으로 가까운 사람이 합니다. 절차는 초헌과 같습니다.
  6. 종헌 - 세 번째 술을 올리는 것으로, 제주의 자식 등 고인과 가까운 사람이 합니다. 절차는 아헌과 같은데, 술을 7부로 따라서, 첨잔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7. 유식 - 제주가 제상 앞에 꿇어앉고, 집사는 남은 술잔에 첨잔합니다. 제주의 부인이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습니다. 젓가락을 시접 위에 손잡이가 왼쪽을 보게 놓게 되는데, 이를 '삽시정저' 라고 합니다. 제주가 두 번, 부인이 네 번 절 합니다.
  8. 합문 - 문 밖에 나가 잠시 기다립니다. 어쩔 수 없는 경우 일동 무릎을 꿇고 잠시 기다립니다.
  9. 헌다 - 국을 물리고 숭늉을 올립니다. 밥을 숭늉에 세 번 말아 놓고 수저를 숭늉 그릇에 놓습니다. 잠시 무릎을 꿇고 기다립니다.
  10. 사신 - 숭늉의 수저를 거두고 밥그릇을 닫습니다. 일동 두 번 절합니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르고, 신주는 사당으로 모십니다.
  11. 철상 - 제사 음식을 물립니다. 뒤에서부터 차례로 진행합니다.
  12. 음복 - 제수를 나누어 먹습니다.

 

 

 

제사음식 종류

  • 젯메(반) : 흰 쌀밥을 주발에 소복하게 담는다.
  • 갱 또는 메탕(반탕) : 쇠고기, 무, 다시마를 넣고 맑게 끓여서 청장(재래식 간장(국간장))으로 간을 하여 갱기나 탕기에 담는다.
  • 삼탕 : 삼탕을 하려면 육탕은 쇠고기와 무, 봉탕은 닭고기, 어탕은 북어, 다시마, 두부를 주재료로 탕을 끓여서 건지만 탕기에 담는다.
  • 삼적 : 육적은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두툼하고 크게 조각 내어 양념을 하고 꼬치에 꿰어 석쇠에 굽고, 봉적은 닭의 목과 발을 잘라 내고 배를 갈라서 펴고 찌거나 기름에 지지고, 어적은 숭어, 조기, 도미 등을 통째로 소금에 절였다가 굽는다. 삼적은 적틀에 한데 담을 때는 제일 아래에 어적, 그 위에 육적, 가장 위에 봉적을 담는다. 이는 바다에 사는 생선을 아래 놓고, 땅 위에서 네 발로 다니는 짐승을 중간에 놓고, 가장 위에는 하늘을 나는 짐승인 새 대신 날개 있는 닭을 놓는 것이다. 닭 대신 꿩을 굽기도 한다. 말하자면 하늘과 땅, 바다라는 우주의 이치를 나타내고자 한 것이며 산해진미를 다 차린다는 뜻을 지닌다. 적틀은 가로 24cm, 세로 15cm 정도의 장방형이다.
  • 소적 : 삼적에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두부를 크게 저며서 노릇노릇하게 지져서 따로 한 그릇을 담는다.
  • 향적 : 파, 배추김치, 도라지, 다시마 등을 길게 썰어서 꼬치에 넓적하게 꿰어 밀가루즙을 묻혀서 기름에 지진다. 여러 장을 겹쳐서 썰어 한 그릇에 담는다.
  • 간납 : 전유어를 말하는데 대구, 명태 등의 흰살 생선을 얇게 떠서 전을 지진다.
  • 포 : 육포, 어포 등을 놓는다. 보편적으로는 북어포를 입 끝과 꼬리 부분을 잘라 내고 머리가 동쪽에 가도록 놓는다. 동해안 지방에서는 오징어를 놓기도 하고, 남쪽 지방에서는 대구포나 상어포를 올린다.
  • 해 : 식혜의 밥알만 건져 제기 접시에 담고 위에 대추 조각을 얹는다. 젓갈 식해를 담던 풍습이 변한 것이다.
  • 숙채 : 삼색으로 마련하는데 도라지나물(흰색)을, 고사리나 고비나물(갈색), 청채는 시금치(푸른색)를 삶아서 무친다. 한 접시에 삼색을 어울려 담는다.
  • 침채 : 무, 배추, 미나리로 고추를 넣지 않고 나박김치를 담근다. 제물에는 화려한 색채나 장식을 쓰지 않고 고명을 얹지 않는다.
  • 편(병) : 시루떡인 메편과 찰편을 높이 고이고 위에 경단, 화전, 주악 등의 웃기떡을 올린다. 시루떡의 고물로는 거피팥, 녹두, 깨고물 등을 쓰며, 붉은색 팥고물은 쓰지 않는다. 시루떡은 편틀 크기에 맞추어 썰어 가장자리를 직선으로 올리면서 쌓는다. 편틀의 가장 아래에 메편을 놓고 위에 찰편을 놓은 다음 웃기떡을 올린다.
  • 과 : 대추, 밤, 감, 배, 계절 과일 순으로 놓으며, 조과는 유과, 다식, 정과를 3, 5, 7의 가짓수로 배열한다.

 

 

 

 

제사상, 제사와 차례 지내는 법 - 흥미로운 역사

처음에 제사상은 단출하게 올려 차례를 지내는것이 원래의 시작이었다고 합니다. 술이나 과일, 포를 올려두고 술도 한번만 올리는 간소한 제사 문화였는데요.

 

언제부터 제사상이 차리는 방법도 어려워지고 음식 가짓수도 지나치게 많아졌는지 궁금하시죠. 처음에는 단출했으나 제사를 통해 가문의 위세와 영향력을 과시하려는 문화가 번지면서 이렇게 제사상 음식 가지수가 많아졌다고 합니다.

 

 

갑오개혁, 일제강점기를 지나 신분제가 완전히 폐지되고 사람들이 족보나 성씨를 사기 시작하면서 모든 사람들이 4대까지 차례를 지내게 되었고 이에 따라서 변화되고 전통으로 자리잡게 되었다고 합니다.

 

전통문화란 민족의 전통과 생활방식이 반영되면서 풍습으로 자리잡게 되는것입니다.

 

 

 

이미지 링크를 통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미지링크를 누르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